• 기억에 남는 질문

    화공에서 어떤활동을 하며 취준하면 좋을지, 어떤 산업으로 가는게 유망한지

  • 위 질문에 대한 답변

    우선, 선배들이 대부분 학부연구생을 하는데, 학부연구생보다 인턴 경험이 조금 더 좋다는 걸 알려주셔서 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인턴 지원 혹은 직무, 산업 등등 고를 때 꼭 범용성을 중점에 두고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채용시장 변화 그래프 분석 해주셧습니다.

  • 기억에 남는 질문

    대학원 진학이 많은 과 특성상 대학원을 생각하는 학우들이 많지만, 저는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취업이 가지는 장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 위 질문에 대한 답변

    취업을 통해 소득이 생기는 시기를 앞당기고, 경력을 먼저 쌓아 대학원 진학에 밀리지 않는 직무를 가질 수도 있게 될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 기억에 남는 질문

    제가 이번에 역량강화를 위해서 휴학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멘토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위 질문에 대한 답변

    반년 1년 정도 휴학하는거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오히려 평범하게 학교를 다니는것보다는 자신의 역량을 쌓고 인턴쉽이나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펙을 쌓는게 더 좋을것입니다.

  • 기억에 남는 질문

    학점이 낮은 경우에는, 어떻게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까요?

  • 위 질문에 대한 답변

    멘토님께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답변해주셨습니다. 일정 수준 이상(3.7-3.8) 의 학점을 받은 경우에는, 이 부분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가 크게 없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하지만, 만일 이 학점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나머지 전공 관련 프로젝트나, 대외활동, 공모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적극적으로 공모전이나, 대외활동, 및 학부연구생과 같은 전공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학생이 우리 회사와 관련된 전공, 직무 적합한 활동들에 열심히 참여했기에, 학점이 낮다고 할지라도 이 부분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 확률이 높다고 말씀해주셨던 것이 굉장히 인상깊고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 기억에 남는 질문

    대학생활을 어떤 식으로 관리를 해야 좋을까요?

  • 위 질문에 대한 답변

    전공학점이나 전체학점은 일정 점수 정도만 넘기고, 대외활동이나 인턴 및 공모전 등을 통해 자소서나 면접에 사용될 소스들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