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에 남는 질문
화공에서 어떤활동을 하며 취준하면 좋을지, 어떤 산업으로 가는게 유망한지
위 질문에 대한 답변
우선, 선배들이 대부분 학부연구생을 하는데, 학부연구생보다 인턴 경험이 조금 더 좋다는 걸 알려주셔서 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인턴 지원 혹은 직무, 산업 등등 고를 때 꼭 범용성을 중점에 두고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채용시장 변화 그래프 분석 해주셧습니다.
기억에 남는 질문
대학원 진학이 많은 과 특성상 대학원을 생각하는 학우들이 많지만, 저는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취업이 가지는 장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위 질문에 대한 답변
취업을 통해 소득이 생기는 시기를 앞당기고, 경력을 먼저 쌓아 대학원 진학에 밀리지 않는 직무를 가질 수도 있게 될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기억에 남는 질문
제가 이번에 역량강화를 위해서 휴학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멘토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위 질문에 대한 답변
반년 1년 정도 휴학하는거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오히려 평범하게 학교를 다니는것보다는 자신의 역량을 쌓고 인턴쉽이나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펙을 쌓는게 더 좋을것입니다.
기억에 남는 질문
학점이 낮은 경우에는, 어떻게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까요?
위 질문에 대한 답변
멘토님께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답변해주셨습니다. 일정 수준 이상(3.7-3.8) 의 학점을 받은 경우에는, 이 부분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가 크게 없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하지만, 만일 이 학점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나머지 전공 관련 프로젝트나, 대외활동, 공모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적극적으로 공모전이나, 대외활동, 및 학부연구생과 같은 전공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학생이 우리 회사와 관련된 전공, 직무 적합한 활동들에 열심히 참여했기에, 학점이 낮다고 할지라도 이 부분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 확률이 높다고 말씀해주셨던 것이 굉장히 인상깊고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기억에 남는 질문
대학생활을 어떤 식으로 관리를 해야 좋을까요?
위 질문에 대한 답변
전공학점이나 전체학점은 일정 점수 정도만 넘기고, 대외활동이나 인턴 및 공모전 등을 통해 자소서나 면접에 사용될 소스들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된다.